본문으로 건너뛰기

08. 발견하지 못한 비밀

보편적 관습만으로는 남들보다 우위에 설 수 없다. 관습은 '숨겨진' 비밀이 아니기 때문이다.

통념과 반대되는 생각을 비즈니스에 적용했던 것을 다시 한 번 떠올려보자. '정말 가치 있는 기업인데 남들이 세우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옳은 대답은 모두 숨겨진 비밀에 해당할 것이다. 중요하고, 알려지지 않았고, 어려운 일이지만 할 수 있는 일이니까 말이다.

사람들은 왜 숨겨진 비밀을 찾아 나서지 않는가

카진스키는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모든 개인이 '성취하려면 노력이 필요한 목표를 가져야 하고, 적어도 자신의 목표 중에 일부는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카진스키는 인간의 목표를 세 종류로 나누었다.

  1. 최소한의 노력으로 만족될 수 있는 목표
  2. 부단한 노력으로 만족될 수 있는 목표
  3. 아무리 노력해도 만족될 수 없는 목표

카진스키는 세상의 어려운 문제는 이미 다 해결되었기 때문에 현대인들이 우울하다고 주장했다. 이제 남은 것은 쉽거나 불가능한 것들뿐이고, 이런 일들을 추구해봐야 불만족만 깊이 쌓일 뿐이다. 그래서 카진스키의 생각은 기존의 기관들을 파괴하고 모든 기술을 없애버려 어려운 문제에 새롭게 도전할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었다.

사회적 추세 네가지가 더해지면서 숨겨진 비밀에 관한 믿음을 없애버렸다.

첫 번째 추세는 '점진주의'다. 어릴 때부터 우리는 한 번에 조금씩, 매일매일, 단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배운다. 더 많이 성취했거나 시험이 없는 것을 배웠다면 학점을 받을 수 없다.

두 번째 추세는 '위험 회피'의 추세다. 사람들이 숨겨진 비밀을 무서워하는 것은 틀릴까봐 무서워하기 떄문이다.

세번째 추세는 '무사 안일주의'다. 사회의 엘리트들은 새로운 사고를 탐구할 수 있는 자유와 능력을 가장 많이 지녔다. 하지만 그들이야말로 숨겨진 비밀을 가장 믿지 않는 사람들인 것 같다. 일류 로스쿨이나 비즈니스 스쿨의 학장들은 다들 똑같은 메시지로 신입생들을 맞는다. '너도 우리 엘리트의 일원이 되었구나. 이제 더 이상 걱정은 하지 않아도 돼. 이제 너의 평생이 보장되니까.'

네번째 추세는 '평평화'다.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은 전 세계를 동질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하나의 시장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숨겨진 비밀을 찾겠다는 포부를 가진 사람들은 먼저 이렇게 자문하게 되었다.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게 가능하다면 똑똑하고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들 중 누군가가 벌써 발견하지 않았을까?'

아직 발견되지 못한 숨겨진 비밀들에 대한 경외심을 잃어버렸다.

숨겨진 비밀을 찾아낸 사례들

숨겨진 비밀은 찾아다니지 않으면 발견할 수가 없다. 간절하게 알고 싶어 하고 일부러 찾아 나서지 않는다면, 숨겨진 비밀은 하나도 알 수 없을 것이다.

숨겨진 비밀을 믿고 그것을 찾아다니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보편화된 관심을 넘어 뻔히 보이는 곳에 숨어 있는 기회들을 볼 수 있다. 너무나 간단해 보이는 것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통찰력만으로도 중요하고 가치 있는 기업을 세울 수 있다면 세상에는 아직도 세울 수 있는 훌륭한 회사들이 많이 남아 있다.